기사 메일전송
‘중대재해처벌법’ 손질 필요하다
  • 유경열 대기자
  • 등록 2021-05-09 12:02:35

기사수정

[대한건설신문 유경열 대기자] 내년 1월 27일 시행을 앞두고 있는 중대재해처벌법으로 인해 건설사들이 혼란에 빠져 있다. 법이 지나치게 모호하고 포괄적이며 관리범위를 벗어나 도저히 불가능한 것에 대해서까지 책임을 묻는 방식이라는 이유 때문이다.


 


건설업계는 법의 모호성으로 무엇을 어떻게 준비해야 할지 알 수가 없다고 한다. 법 전문가들조차도 법 해석이 제각각이어서 어디에 초점을 맞춰야 할지 어리둥절하다고 한다. 건설업계가 법의 자의적 판단과 기업의 과도한 부담해소, 재해예방 등 문제점을 일거에 해결하기 위해서는 보완입법 마련이 중요하다는데 결론을 내리고 분주하게 움직이고 있다.


 


50인 이상 기업에서 근로자가 사망하거나 다칠 경우 사업주나 경영책임자에게 1년 이상의 징역형에 처하도록 한 것이 중대재해처벌법의 골격이다. 50인 미만 사업장은 2024년부터 적용된다. 건설업계는 법 개념정의를 ‘1명이상 사망’에서 ‘3명이상 사망자가 1년 내 반복 발생’으로 바꾸자고 말한다. 중대재해처벌법은 산업안전보건법과 동일한 범죄구성요건을 규정하면서도 처벌대상과 형량을 대폭 높여놓고 있어 형벌체계상 균형 상실로 위헌소지가 다분하다는 지적이다.



또 경영책임자의 안전보건 확보의무 중 ‘안전보건관계 법령에 따른 의무이행에 필요한 관리상의 조치’를 삭제를 요구하고 있다. 이는 ‘안전보건관계 법령’이 한두 개가 아니고 ‘관리상의 조치’라는 것이 무엇을 말하는지, 그 개념 자체가 모호하고 막연해 경영책임자의 의무가 무한대로 확장될 소지가 높다는 우려가 있다. 건설업계는 또 ‘하한형(1년 이상 징역)’ 형벌을 ‘상한형’으로 바꿀 것을 원하고 있다. 그 이유는 현장에서 발생하는 재해는 거의가 과실에 의한 것이다. 그럼에도 고의범과 과실범을 동일방식으로 취급하는 것은 명백한 과잉처벌이라는 건설업계의 목소리에 공감이 간다.



이처럼 정부가 “위반하면 처벌 한다”고 으름장만 놓고 있으니, 기업은 혼란스럽고 불안할 수밖에 없다. 기업의 운명을 운(運)에 맡겨야 할 판이다. 건설사마다 해외현장을 포함해 수십에서 수백 개의 현장을 보유하고 있다. CEO가 현장을 일일이 챙겨 사고발생을 막아야 하는데, 현실적·물리적으로 불가능하다. 법대로라면 사업주들은 감방신세를 면하기 어렵다. 오죽하면 사고담당 CEO를 따로 둬야 한다는 소리까지 나올까!



법 시행 이전에 사고의 단초를 제공하고 있는 적정공사비와 적정공사기간 문제부터 손봐야 한다. 적자만회를 위한 무리한 공기단축은 사고발생에 결정적이자 치명적이기 때문이다. 이런 문제를 그대로 두고 안전을 바라는 것은 염치없는 짓이다.


 


처벌만 강하게 한다고 해서 안전관리가 잘 되고 재해가 감소하는 것은 아니다. 기업의 과도한 긴장감은 오히려 사고를 유발할 수가 있다. 건설사들도 스마트안전시스템을 도입하는 등 다양한 노력과 많은 투자를 하고 있다. 이처럼 기업은 안전 환경을 제공하고, 근로자는 규칙을 준수하는 것보다 확실한 재해예방책은 없다. ‘처벌 만능주의’는 모두가 위험하다. 우리가 바라는 것은 근로자도, 기업도, 사회도, 안전을 담보하는 거다.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유경열 대기자의 쓴소리단소리
 초대석/이사람더보기
기계설비건설공제조합
많이 본 뉴스더보기
  1. 박상우 국토부 장관의 ‘공직 자세’ 박상우 국토교통부 장관의 ‘현장 행정’에 건설업계가 지지와 함께 박수를 보내고 있다. 박 장관은 힘들어하는 건설 현장의 소리를 직접 듣고, 또 변화무쌍한 건설시장을 확인하기 위해 건설단체들과 끊임없는 소통을 이어가고 있다. 부동산 PF 위기·미분양 적체·공사원가 급등·고금리 ...
  2. 초대석 / 김종서 기계설비건설공제조합 이사장 직무대행 지난해 기계설비건설공제조합(이하 조합)이 창립 이래 역대 최대 325억원의 당기순이익을 달성했다. 이는 2022년 당기순이익 282억 원보다 무려 15.1% 증가한 수치다. 또 좌당 3만 3030원(1좌당 109만 2000원)의 지분가 상승으로 조합원에 수익 환원시켰다. 부동산 PF 위기·공사원가 급등·고금리 등 건설경기 ...
  3. 인터뷰/송명기 한국건설엔지니어링협회 회장 “국내 건설엔지니어링 산업의 지속 성장과 고부가가치화를 위해 가장 필요한 것은 ‘합리적인 대가 체계와 적정 대가 지급’이다. 이는 우리 업계의 고질적인 수익성 문제와 젊은 엔지니어의 외면에 따른 고령화를 해소할 수 있는 가장 근본적인 해결책이다. 협회는 관련 연구를 통해 정책적·...
  4. 제언 / 박희대 한국건설산업연구원 부연구위원 정부의 스마트 건설기술 활성화 유도를 위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스마트 건설기술의 활용은 발주 및 입찰제도의 제약, 건설기업의 인식과 활용도 차이 등으로 인해 한계가 있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우리 건설산업 차원의 스마트 건설기술 도입을 촉진하고 활성화를 유도하기 위해서는 적용 가능한 스마트 건설기술의 개념과 범위에 대한 ...
  5. <국토교통인의 향기>좌우 통행방식 다른 철도…한국 교통의 과제 철도의 숨은 역사2022년 제20대 대통령선거에서 수도권 광역급행철도(GTX)가 여·야의 주요공약으로 제시된 바 있었다. 수도권 광역교통대책의 필요성을 많은 사람들이 공감하고 있다는 뜻일 것이다. 공약대로 GTX가 건설된다면 현재 40%에 이르는 서울시의 지하철·전철 분담률은 더욱 높아지고, 다른 광역대도시 등에도 이 추세가 확...
한국도로공사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