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화려한 백제문화 숨결 깃든 ‘도읍의 城’
  • 편집부
  • 등록 2023-10-22 20:37:05

기사수정


통일신라 이전 삼국 가운데 가장 독창적이고 찬란한 문화적 유산을 남긴 백제. 공산성은 그 백제의 도읍이었던 웅진을 지켜온 왕성(王城)이자, 당시 뛰어난 토목건축 기술을 총망라한 문화유산이다. 


공산성은 백제 문주왕 원년인 475년, 한성에서 지금의 공주인 웅진으로 이주한 후 성왕 16년(538년)에 사비로 옮길 때까지 도성으로서의 역할을 했고, 그 후 통일신라·고려·조선 시대에도 행정과 군사적 요충지로 활용됐다.


국내에선 사적 제12호로 등재됐고, 지난 2015년에는 공주 무령왕릉, 왕릉원과 함께 ‘백제역사 유적지구’로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되기도 했다. 백제의 독창적인 문화를 이룩하고, 이를 일본 등 주변국가에 전하여 고대 동아시아 문화번영에 기여한 점을 인정받았다.


공산성이 있는 공산은 동서로 마주보고 있는 두 개의 산봉(山峰)으로 이뤄졌다. 동쪽에 있는 산봉은 해발 110m, 서쪽의 산봉은 해발 85m다. 공주 공산성은 이 두 개의 산봉을 에워싸 자연스럽게 두 산봉 사이의 계곡부를 에워싸는 포곡식의 형태를 띠고 있다. 토성으로 알려진 동쪽구간 735m를 제외한 나머지 구간은 석성으로 이뤄졌다. 현재 대부분의 성벽은 조선시대 이후 재축조됐다.


공산성은 지난 1955년부터 매년 가을 공주시 일대에서 열리는 백제문화제의 주요 무대로도 유명하다. 특히 성 외곽을 따라 조성된 탐방로는 1시간 반 정도면 성곽은 물론 공주시가지와 유유히 흐르는 금강의 모습까지 모두 즐길 수 있는 코스다. 공산성 방문자센터를 거쳐 가장 먼저 만날 수 있는 금서루를 지나 북문인 공복루에 다다르면 송시열이 쓴 중수문 등 많은 시인 묵객들의 글귀와 함께 금강의 경치를 한껏 즐길 수 있다. 


임진왜란이 끝난 뒤인 1603년 충청도 관찰사로 부임해 공산성에 충청감영을 설치한 유근은 ‘소동파는 적벽강에 놀았으나 나는 창벽에서 놀고, 유양은 남루에 올랐지만 나는 여기 북루에 올랐노라’라는 글귀를 남기며 금강의 경치를 극찬하기도 했다. 최근에는 공산성 일대에 형형색색의 점등을 설치해 낮에는 물론 밤에도 화려한 야경을 볼 수 있어 가을 단풍을 즐기는 관람객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고 있다.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유경열 대기자의 쓴소리단소리
 초대석/이사람더보기
기계설비건설공제조합
많이 본 뉴스더보기
  1. <국토교통인의 향기>수도권 젖줄 한강…환경 생각한 개발 필요 도시경관 제고를 위한 한강 개발 제언프랑스 파리에 관광객이 몰리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겠으나 시가지 중심을 동남에서 서북쪽으로 흐르는 센강과 그 주변의 볼거리가 많은 것도 이유가 될 것이다.▶환경 보호를 고려하는 개발=조선시대의 서울 인구는 20만 명 정도, 그 시대의 생활용수는 주로 지하수였다. 지금의 수도권 인구는 그때..
  2. ‘만능 면허’ 시설물유지관리업, 내년 1월 1일 폐지 '역사속으로' ‘만능 면허’ 시설물유지관리업이 내년 1월 1일부로 폐지, 역사 속으로 사라진다. 건설업을 계속 수행하고자 하는 업체는 연말까지 건설업 등록관청에 종합건설업이나 전문건설업으로 업종을 전환해야 한다. 국토교통부(장관 원희룡)는 2020년 개정된 ‘건설산업기본법 시행령’에 따라 2024년 1월 ...
  3. 8회째 맞은 ‘기계설비의 날’ 기념식…탄소중립 실천 다짐 2016년 기계설비산업의 위상을 제고하고 산업 발전에 기여한 공로자를 격려하기 위해 ‘기계설비의 날’을 제정, 올해로 8회째를 맞은 기념식에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이 참석해 '탄소중립 선포식'을 갖는 등 퍼팩트한 기념행사를 치렀다. 기계설비의 날 기념식 조직위원회(위원장 조인호)는 8일 ...
  4. 이사람 / 손병회 영동건설(주) 회장의 ‘건설 세상’ 사업은 사업대로 열정을 다하면서 이런 일 저런 일로 열심히 발품을 팔고 다니는 중견 건설인이 있다. 영동건설(주) 손병회 회장이다. 손 회장은 “요즈음은 자식들이 사업을 물려받으려고 하지를 않는다. 그 이유는 앞으로 건설산업은 비전과 희망은 물론 쇠퇴해가는 사양산업이라 인기가 없다는 거다. 40...
  5. 기고/이학주 건축분쟁전문위원회 사무국장 건축공사로 인한 인근 주민과의 분쟁조정 신청은 해마다 증가하고 있다. 조정신청된 분쟁의 유형을 분석해보면 건축물 피해분쟁이 전체의 57%로 가장 많다. 건축물 피해는 인근 건축공사 현장의 해체, 발파, 파일 항타, 구조체 공사시 발생하는 진동·충격, 흙막이 변위, 지하수위 저하로 의한 지반침하 등 착공 초기의 다양한 원인으로 ..
한국도로공사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