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한국의 美>신선 노니는 이상향…여기가 무릉도원인가
  • 편집부
  • 등록 2023-08-13 21:57:24

기사수정
  • 동해 무릉계곡


중국 동진(東晉)시대 말기의 시인인 도연명의 작품인 ‘도화원기(桃花源記)’. 여기서 등장하는 것이 바로 그 유명한 ‘무릉도원(武陵桃源)’이다. 신선이 살며 복숭아 꽃이 만발한 평화로운 마을인 무릉도원은 예나 지금이나 모든 사람들이 가고파하는 이상향이자 별천지의 대명사로 묘사된다.


강원 동해시 두타산과 청옥산 아래 호암소에서 용추폭포까지 4km에 달하는 계곡인 ‘무릉계곡’은 온갖 기암괴석과 폭포들이 마치 무릉도원과 같은 절경을 이루며 붙여진 이름이다. 국민관광지로 지정된 무릉계곡에는 무릉반석, 선녀탕, 용추폭포, 쌍폭포 등 볼거리가 다양하다. 


이 중 무릉반석은 2000여 명이 동시에 앉을 수 있는 거대한 암반이다. 암반 위에는 수많은 석각들이 곳곳에 새겨져 있는데, 이 글씨들은 계곡을 찾은 옛 시인 묵객들이 남기고 간 것이다. 특히 조선 시대의 4대 명필로 꼽히는 양사언은 ‘신선들이 노닐던 이 세상의 별천지’ 라는 글귀로 무릉계곡의 절경을 극찬했다.


소무릉계라 불리는 호암소의 전설을 담은 계곡 탐방로는 무릉계곡을 가장 알차게 즐길 수 있는 방법이다. 총 1.82km에 이르는 탐방로는 호암소를 거쳐 두타산과 청옥산의 서로 다른 두 물줄기가 하나로 만나 이뤄진 ‘호암폭포’, 암반지형을 그대로 형상화한 호암교 등을 거닐 수 있는 코스다.


주변 관광지로는 용추폭포, 삼화사, 두타산 협록 마천루 등 비경을 즐길 수 있고, 계곡을 따라 불어오는 바람과 청량한 물소리에서 답답한 일상을 벗어나 자연 속 힐링을 즐기기에 충분하다.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유경열 대기자의 쓴소리단소리
 초대석/이사람더보기
기계설비건설공제조합
많이 본 뉴스더보기
  1. <국토교통인의 향기>수도권 젖줄 한강…환경 생각한 개발 필요 도시경관 제고를 위한 한강 개발 제언프랑스 파리에 관광객이 몰리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겠으나 시가지 중심을 동남에서 서북쪽으로 흐르는 센강과 그 주변의 볼거리가 많은 것도 이유가 될 것이다.▶환경 보호를 고려하는 개발=조선시대의 서울 인구는 20만 명 정도, 그 시대의 생활용수는 주로 지하수였다. 지금의 수도권 인구는 그때..
  2. ‘만능 면허’ 시설물유지관리업, 내년 1월 1일 폐지 '역사속으로' ‘만능 면허’ 시설물유지관리업이 내년 1월 1일부로 폐지, 역사 속으로 사라진다. 건설업을 계속 수행하고자 하는 업체는 연말까지 건설업 등록관청에 종합건설업이나 전문건설업으로 업종을 전환해야 한다. 국토교통부(장관 원희룡)는 2020년 개정된 ‘건설산업기본법 시행령’에 따라 2024년 1월 ...
  3. 8회째 맞은 ‘기계설비의 날’ 기념식…탄소중립 실천 다짐 2016년 기계설비산업의 위상을 제고하고 산업 발전에 기여한 공로자를 격려하기 위해 ‘기계설비의 날’을 제정, 올해로 8회째를 맞은 기념식에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이 참석해 '탄소중립 선포식'을 갖는 등 퍼팩트한 기념행사를 치렀다. 기계설비의 날 기념식 조직위원회(위원장 조인호)는 8일 ...
  4. 이사람 / 손병회 영동건설(주) 회장의 ‘건설 세상’ 사업은 사업대로 열정을 다하면서 이런 일 저런 일로 열심히 발품을 팔고 다니는 중견 건설인이 있다. 영동건설(주) 손병회 회장이다. 손 회장은 “요즈음은 자식들이 사업을 물려받으려고 하지를 않는다. 그 이유는 앞으로 건설산업은 비전과 희망은 물론 쇠퇴해가는 사양산업이라 인기가 없다는 거다. 40...
  5. 기고/이학주 건축분쟁전문위원회 사무국장 건축공사로 인한 인근 주민과의 분쟁조정 신청은 해마다 증가하고 있다. 조정신청된 분쟁의 유형을 분석해보면 건축물 피해분쟁이 전체의 57%로 가장 많다. 건축물 피해는 인근 건축공사 현장의 해체, 발파, 파일 항타, 구조체 공사시 발생하는 진동·충격, 흙막이 변위, 지하수위 저하로 의한 지반침하 등 착공 초기의 다양한 원인으로 ..
한국도로공사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