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종합·전문’ 게임…공정해야 한다
  • 유경열 대기자
  • 등록 2022-01-16 15:45:51

기사수정

[대한건설신문 유경열 대기자] 지난해 국내건설수주가 200조원을 넘어서는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지만 펜데믹 장기화와 건설자재 대란으로 공사가 중단되는 사태가 벌어지는 등 혼란스러웠던 건설업계가 올해 역시 상황이 녹록치가 않다. 이달 27일부터 시행에 들어가는 중대재해처벌법과 규제 중심의 부동산정책, 공사비산정기준 비현실화 등 난제에다 건설시장이 생산체계개편의 후유증을 앓고 있다는 것이 그 이유다.


 


지금 건설사들은 중대재해처벌법 시행을 앞두고 긴장상태다. 법이 지나치게 모호하고 포괄적이며 관리범위를 벗어나 도저히 불가능한 것에 대해서까지 책임을 묻고 있다. 50인 이상 기업에서 근로자가 사망하거나 다칠 경우 사업주나 경영책임자에게 1년 이상의 징역형에 처하도록 했다. 50인 미만 사업장은 2024년부터 법이 적용된다.


 


건설업계는 ‘1년 이상 징역의 하한형’ 형벌을 ‘상한형’으로 바꿀 것을 원하고 있다. 현장에서 발생하는 재해는 거의가 과실인데, 고의범과 동일방식으로 취급하는 것은 명백한 과잉처벌이라는 것이다. 건설업계의 절박한 목소리에도 정부는 요지부동이다. 안전사고의 단초를 제공하고 있는 적정공사비, 적정공사기간 같은 것들을 손보지 않고서는 아무리 처벌법이 강해도 뜻을 이룰 수가 없다. 이런 문제를 그대로 방치하고 안전을 바라는 것은 염치없는 짓이다.


 


여기에 지난해 종합건설과 전문건설이 상호시장에 진출할 수 있게 시장을 개방한 생산체계개편으로 인해 전문건설은 종합건설에 비해 더 심란하다. 막상 생산체계개편 뚜껑을 열고 보니 종합과 전문이 기울어진 운동장에서 경쟁을 하라는 불공정한 제도라며 전문건설업계가 폐지를 요구하고 있다.


 


전문건설이 종합건설시장에 진출하려면 다수의 전문공사업종 등 상대등록기준을 충족해야 한다. 그러나 실상은 1~2개 전문 업종면허만을 보유한 약 90%정도의 전문건설업체들은 진입장벽이 높아 종합공사 참여는 엄두도 못 내고 있다. 반대로 종합건설은 전문건설에 비해 등록기준이 높아 전문공사에 제한 없이 참여하고 있다는 것이 지금 시장 상황이다. 실제로 종합공사를 전문건설업체가 수주한 건수보다, 전문공사를 종합건설업체가 가져간 건수는 약 4배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존에 수행하던 전문공사마저 종합건설업체가 거의 싹쓸이 하고 있다는 전문건설업계의 절규에 이해가 간다.


 


지난해 말 국토부가 종합건설사업자가 도급받은 전문공사를 도급금액의 80%이상을 직접시공 해야 함에도 이를 지키지 않고 불법으로 하도급을 준 46개 현장을 적발했다. 이는 종합건설사들이 전문공사를 수주해 이문(利文)만 챙기고 전문건설사에 하도급을 주고 있다는 이야기다. 전문건설업계의 ‘업역 폐지’는 무효라는 외침에 설득력이 있다.


 


종합·전문이 상호경쟁을 없애고 공생발전 할 수 있는 기반마련을 위해 업역을 폐지했다면 종합과 전문의 게임은 공정해야 하는 것은 상식이자 진리다. 게임이 공정하지 않고 한쪽으로 치우쳤다면 바로잡아야 한다. 여기에는 우리가 바라는 품질·안전·발전이라는 분명한 목표가 있다. ‘업역 폐지’는 중대재해처벌과도 상관관계가 있음을 간과해서는 안된다.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유경열 대기자의 쓴소리단소리
 초대석/이사람더보기
기계설비건설공제조합
많이 본 뉴스더보기
  1. 박상우 국토부 장관의 ‘공직 자세’ 박상우 국토교통부 장관의 ‘현장 행정’에 건설업계가 지지와 함께 박수를 보내고 있다. 박 장관은 힘들어하는 건설 현장의 소리를 직접 듣고, 또 변화무쌍한 건설시장을 확인하기 위해 건설단체들과 끊임없는 소통을 이어가고 있다. 부동산 PF 위기·미분양 적체·공사원가 급등·고금리 ...
  2. 초대석 / 김종서 기계설비건설공제조합 이사장 직무대행 지난해 기계설비건설공제조합(이하 조합)이 창립 이래 역대 최대 325억원의 당기순이익을 달성했다. 이는 2022년 당기순이익 282억 원보다 무려 15.1% 증가한 수치다. 또 좌당 3만 3030원(1좌당 109만 2000원)의 지분가 상승으로 조합원에 수익 환원시켰다. 부동산 PF 위기·공사원가 급등·고금리 등 건설경기 ...
  3. 인터뷰/송명기 한국건설엔지니어링협회 회장 “국내 건설엔지니어링 산업의 지속 성장과 고부가가치화를 위해 가장 필요한 것은 ‘합리적인 대가 체계와 적정 대가 지급’이다. 이는 우리 업계의 고질적인 수익성 문제와 젊은 엔지니어의 외면에 따른 고령화를 해소할 수 있는 가장 근본적인 해결책이다. 협회는 관련 연구를 통해 정책적·...
  4. 제언 / 박희대 한국건설산업연구원 부연구위원 정부의 스마트 건설기술 활성화 유도를 위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스마트 건설기술의 활용은 발주 및 입찰제도의 제약, 건설기업의 인식과 활용도 차이 등으로 인해 한계가 있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우리 건설산업 차원의 스마트 건설기술 도입을 촉진하고 활성화를 유도하기 위해서는 적용 가능한 스마트 건설기술의 개념과 범위에 대한 ...
  5. <국토교통인의 향기>좌우 통행방식 다른 철도…한국 교통의 과제 철도의 숨은 역사2022년 제20대 대통령선거에서 수도권 광역급행철도(GTX)가 여·야의 주요공약으로 제시된 바 있었다. 수도권 광역교통대책의 필요성을 많은 사람들이 공감하고 있다는 뜻일 것이다. 공약대로 GTX가 건설된다면 현재 40%에 이르는 서울시의 지하철·전철 분담률은 더욱 높아지고, 다른 광역대도시 등에도 이 추세가 확...
한국도로공사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