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혁신성적표’를 기대한다
  • 유경열 대기자
  • 등록 2020-01-14 16:43:14

기사수정

[대한건설신문 유경열 대기자] 올해 건설업계 화두는 성장·혁신이다. 그러나 건설업계는 올해도 지난해와 크게 다를 바가 없이 희망적이지 않다. 먹거 리가 많아야 정도 넘쳐나고 주위를 돌볼 여유가 생길 텐데, 인심이 사나워질까 걱정이다. 지난해 국내건설실적은 약 148조 4,000억원으로 추정된다.


 


올해는 지난해보다 3.8% 감소한 142조 8,000억원 수준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지난해 건설실적은 6년 내최악이다. 효자 역할을 해오던 해외건설시장마저 중동지역에서 반토막이 나면서 지난해 220억 달러에 머물렀다. 이는 2018년보다 30% 감소한 실적이다. 2006년 이후 13년 만에 가장 낮은 수치다. 해외시장 의존도가 높은 건설사들의 고민은 깊어지고 있다. 부동산 시장 역시 이런저런 사유로 지방에는 미분 양이 넘쳐나는가 하면 경색국면에서 벗어 나기 힘들 것 같다. 국내·해외·부동산시장, 모두가 답답해 보인다.


 


지난해 한 연구원이 충격적인 자료를 내놨다. 영업이익으로 이자 비용도 감당 못하는 부실한 건설 ‘좀비기업(한계기업)’이 10.4%나 된다고 한다. 실상은 건설등록업체 총 6만 8,781개사(작년 7월 현재, 종합 1만2,651개·전문 5만6130개) 가운데 실적 없이 사무실 문만 열어 놓고 있는 휴면상 태의 업체가 등록업체 3분의 1 정도 된다고 한다. 1일부터 주 52시간 근무제가 시행된다.


 


건설현장이 국내·외를 막론하고 큰 혼란에 빠지게 되는 것은 ‘강 건너 불 보듯’ 뻔하다. 기업인들은 하나같이 “죽지 못해 산다”고 말한다. 건설업이 사양산업이라는 말이 떠돈 지는 이미 오래전이다. 건설업체 대다수가 공사를 해도 수익성이 떨어져 손해를 보면서 일을 하고 있다고 한다.


 


“밑지는 장사를 왜 하느냐” 물으면 “인력과 장비를 세워둘 수가 없어”라는 기막힌 대답을 하고 있다. 이것이 건설업계의 실상이다. 녹록지 않은 건설 환경, 일감부족, 반대로 시장규모에 비해 업체 수는 넘쳐나고, 생존경쟁이 치열할 수밖에 없다. 사람들은 예민 해지고, 시장 분위기도 험악 해지면서 ‘갑질’이 난무할 수가 있다. ‘갑질’은 발주자·원 도급자·하도급자, 연쇄반응을 일으킨다. 그 후유증은 근로자들에게 고스란히 돌아간다. 부실시공으로 인한 안전과 소비자피해는 뒷전이다. ‘갑질’도 너무 지나치면 화(禍)가 돌아온다.


 


“대기업과 중소기업이 동반자적 관계에서 상생을 추구한다면 이보다 더한 성장동 력은 없다”는 말을 귀가 따갑도록 듣고 있다. 대승적 차원에서 ‘같이 잘살아 보자’는 말에 반론을 제기할 사람은 없다. 일감이 넘쳐나고 모든 것이 순리대로 돌아가면 기대해 볼까, 지금은 아닌 것 같다. 건설산업을 둘러싼 제도·규제가 여기에 크게 한몫을 하며 방해를 하고 있다.


 


건설산업이 국가 경제의 중추적인 역할을 하고 있지만 아직도 건설업을 대하는 정부의 자세는 별로다. 건설업계 스스로가 살길을 찾는 수밖에는 딱히 방법이 없다. 혁신이란 오래 묵은 제도·관습·조직·방법을 새롭게 바꾸는 것이다. 건설과 관련해 바꾸고, 버려야 할 것들이 유난히 많다. 정부의 관심과 의지가 ‘혁신 바람’을 일으킨다. 일 년 뒤 ‘혁신성적표’를 기대한다.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유경열 대기자의 쓴소리단소리
 초대석/이사람더보기
기계설비건설공제조합
많이 본 뉴스더보기
  1. 박상우 국토부 장관의 ‘공직 자세’ 박상우 국토교통부 장관의 ‘현장 행정’에 건설업계가 지지와 함께 박수를 보내고 있다. 박 장관은 힘들어하는 건설 현장의 소리를 직접 듣고, 또 변화무쌍한 건설시장을 확인하기 위해 건설단체들과 끊임없는 소통을 이어가고 있다. 부동산 PF 위기·미분양 적체·공사원가 급등·고금리 ...
  2. 초대석 / 김종서 기계설비건설공제조합 이사장 직무대행 지난해 기계설비건설공제조합(이하 조합)이 창립 이래 역대 최대 325억원의 당기순이익을 달성했다. 이는 2022년 당기순이익 282억 원보다 무려 15.1% 증가한 수치다. 또 좌당 3만 3030원(1좌당 109만 2000원)의 지분가 상승으로 조합원에 수익 환원시켰다. 부동산 PF 위기·공사원가 급등·고금리 등 건설경기 ...
  3. 인터뷰/송명기 한국건설엔지니어링협회 회장 “국내 건설엔지니어링 산업의 지속 성장과 고부가가치화를 위해 가장 필요한 것은 ‘합리적인 대가 체계와 적정 대가 지급’이다. 이는 우리 업계의 고질적인 수익성 문제와 젊은 엔지니어의 외면에 따른 고령화를 해소할 수 있는 가장 근본적인 해결책이다. 협회는 관련 연구를 통해 정책적·...
  4. 제언 / 박희대 한국건설산업연구원 부연구위원 정부의 스마트 건설기술 활성화 유도를 위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스마트 건설기술의 활용은 발주 및 입찰제도의 제약, 건설기업의 인식과 활용도 차이 등으로 인해 한계가 있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우리 건설산업 차원의 스마트 건설기술 도입을 촉진하고 활성화를 유도하기 위해서는 적용 가능한 스마트 건설기술의 개념과 범위에 대한 ...
  5. <국토교통인의 향기>좌우 통행방식 다른 철도…한국 교통의 과제 철도의 숨은 역사2022년 제20대 대통령선거에서 수도권 광역급행철도(GTX)가 여·야의 주요공약으로 제시된 바 있었다. 수도권 광역교통대책의 필요성을 많은 사람들이 공감하고 있다는 뜻일 것이다. 공약대로 GTX가 건설된다면 현재 40%에 이르는 서울시의 지하철·전철 분담률은 더욱 높아지고, 다른 광역대도시 등에도 이 추세가 확...
한국도로공사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