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부처의 가르침 싣고오던 발길도 멈춘 천년고찰
  • 편집부
  • 등록 2023-11-20 09:38:34

기사수정


예로부터 조선 8경으로 꼽히는 명산인 속리산. 소금강이라고도 불리는 속리산은 산세가 빼어난 것은 물론 계절의 변화에 따른 다양한 경치가 절경을 이룬다. 또 곳곳에 크고작은 사찰들이 자리한 것으로도 유명한데, 그 중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도 선정된 ‘법주사(法住寺)’는 한국의 명찰로 손꼽히기에 충분하다.


법주사는 이름 그대로 ‘부처님의 법이 머무는 절’이라는 뜻을 담고 있다. 신라 진흥왕 때 의신조사가 천축으로 구법여행을 떠났다가 불경을 싣고 돌아오는 길에, 불경을 실은 나귀가 이곳에 멈추며 기이한 행적을 보이자 그 기이함에 절을 지었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법주사는 창건한지 1000년이 훌쩍넘는 고찰인 만큼 수차례 중창이 이뤄졌다. 특히 고려 말 공민왕과 조선 초기 세조 임금도 이곳을 들러 전각을 크게 늘린 것으로 알려져있다. 사적 제503호로 지정된 법주사에는 대한민국의 유일한 고식(古式) 목탑인 팔상전을 비롯한 다양한 문화재가 자리해 있다. 국보만 3점, 보물은 13점에 달한다.


이중 국보 55호인 팔상전은 임진왜란때 한 번 불탔으나 인조 2년(1624)에 벽암대사가 주관해 다시 지어진 5층 목탑이다. 석가모니 부처의 일생에서 중요한 여덟장면을 구분해 그린 그린 팔상도(八相圖)가 있어서 ‘팔상전’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예술적 가치는 물론이거니와 현재 국내에 남아 있는 유일한 목조탑이라는 점에서 그 가치가 높다고 평가된다.


법주사는 특히 매년 가을 나들이객들이 많이 찾는 단풍명소로도 널리 알려졌다. 특히 조선 7대 임금인 세조가 직접 걸었다녔다고 전해지는 세조길은 지난 2016년 개통돼 탐방객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고 있다. 세조길은 법주사에서 복천암까지 약 3.2km의 산책로로 전 구간이 소나무 숲과 각종 단풍, 저수지를 즐기며 걸을 수 있도록 조성됐다. 


법주사 삼거리를 지나 저수지-목욕소-세심정-복천암으로 이어지는 세조길은 전 구간에 오르막길이 거의 없고, 경사가 급한 비탈면에는 나무데크를 설치해 남녀노소 누구나 걷기에 무리가 없는 탐방로를 갖췄다.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유경열 대기자의 쓴소리단소리
 초대석/이사람더보기
기계설비건설공제조합
많이 본 뉴스더보기
  1. <국토교통인의 향기>수도권 젖줄 한강…환경 생각한 개발 필요 도시경관 제고를 위한 한강 개발 제언프랑스 파리에 관광객이 몰리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겠으나 시가지 중심을 동남에서 서북쪽으로 흐르는 센강과 그 주변의 볼거리가 많은 것도 이유가 될 것이다.▶환경 보호를 고려하는 개발=조선시대의 서울 인구는 20만 명 정도, 그 시대의 생활용수는 주로 지하수였다. 지금의 수도권 인구는 그때..
  2. ‘만능 면허’ 시설물유지관리업, 내년 1월 1일 폐지 '역사속으로' ‘만능 면허’ 시설물유지관리업이 내년 1월 1일부로 폐지, 역사 속으로 사라진다. 건설업을 계속 수행하고자 하는 업체는 연말까지 건설업 등록관청에 종합건설업이나 전문건설업으로 업종을 전환해야 한다. 국토교통부(장관 원희룡)는 2020년 개정된 ‘건설산업기본법 시행령’에 따라 2024년 1월 ...
  3. 8회째 맞은 ‘기계설비의 날’ 기념식…탄소중립 실천 다짐 2016년 기계설비산업의 위상을 제고하고 산업 발전에 기여한 공로자를 격려하기 위해 ‘기계설비의 날’을 제정, 올해로 8회째를 맞은 기념식에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이 참석해 '탄소중립 선포식'을 갖는 등 퍼팩트한 기념행사를 치렀다. 기계설비의 날 기념식 조직위원회(위원장 조인호)는 8일 ...
  4. 이사람 / 손병회 영동건설(주) 회장의 ‘건설 세상’ 사업은 사업대로 열정을 다하면서 이런 일 저런 일로 열심히 발품을 팔고 다니는 중견 건설인이 있다. 영동건설(주) 손병회 회장이다. 손 회장은 “요즈음은 자식들이 사업을 물려받으려고 하지를 않는다. 그 이유는 앞으로 건설산업은 비전과 희망은 물론 쇠퇴해가는 사양산업이라 인기가 없다는 거다. 40...
  5. 기고/이학주 건축분쟁전문위원회 사무국장 건축공사로 인한 인근 주민과의 분쟁조정 신청은 해마다 증가하고 있다. 조정신청된 분쟁의 유형을 분석해보면 건축물 피해분쟁이 전체의 57%로 가장 많다. 건축물 피해는 인근 건축공사 현장의 해체, 발파, 파일 항타, 구조체 공사시 발생하는 진동·충격, 흙막이 변위, 지하수위 저하로 의한 지반침하 등 착공 초기의 다양한 원인으로 ..
한국도로공사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