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천자가 쓰는 왕관 닮은 '호남 5대 명산'
  • 편집부
  • 등록 2023-11-17 10:13:35

기사수정


하늘의 천자가 쓰는 왕관을 닮았다하여 이름 지어진 ‘천관산(天冠山)’. 지리산, 내장산, 월출산, 변산과 더불어 호남의 5대 명산 중 하나로 손꼽힌다. 전라남도 장흥군 관산읍과 대덕읍 경계에 있는 천관산은 해발 723m로 높은 산은 아니지만, 온 산이 바위로 이뤄져 봉우리마다 솟은 기암괴석들이 감탄을 자아낸다. 


산 정상에 오르면 남해안의 다도해가 한 눈에 펼쳐지고, 북으로는 영암의 월출산, 장흥의 제암산, 광주의 무등산이 한눈에 들어오며, 간혹 날씨가 맑은 날은 제주도 한라산까지도 볼 수 있다. 천관산은 사계절 색다른 모습으로 즐길 수 있다는 점이 등산객들의 발길을 이끄는 포인트다. 봄에는 푸른 숲과 붉은 동백숲이 산자락을 붉게 물들인다. 


천관산 동백숲 일대에 자생하는 2만여 그루의 동백나무는 단일 수종으로 국내 최대 군락을 이루고 있으며 2007년 한국 기네스북에 등재되기도 했다. 특히 가을이면 정상 부근 40만평에 펼쳐진 억새밭이 그야말로 장관이다. 매년 10월 억새 절정기에 맞춰 천관산 억새제가 열리는데 천관산 연대봉에서 환희대까지 펼쳐진 억새평원 사이로 내려다보는 남해의 풍광은 가을 산행의 백미라 할 수 있다. 


산 중턱에는 신라 애장왕 때 영통화상이 세운 천관사가 있었으나, 현재는 법당, 칠성각, 요사 등이 남아 있으며, 천관사 3층석탑(보물), 석등(전라남도 유형문화재) 및 5층 석탑 등 문화유적들도 일부 존재 한다. 천관산은 산세가 험하지 않고 정상까지 오르는 등산로가 능선마다 있어 다양한 코스로 산행을 즐길 수 있다. 


그 가운데서도 장천재를 출발해 양근암을 지나 연대봉까지 이어진 코스와 금수굴, 금강굴을 각 각 지나 환희대를 거쳐 정상으로 향하는 코스가 가장 인기있다. 이 밖에도 천혜의 자연을 자랑하는 천관산 자연 휴양림에서는 숙박, 캠핑도 가능하고 숲 해설, 동백 아가씨, 표고버섯 관찰하기 등 다양한 체험프로그램도 마련돼 있다.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유경열 대기자의 쓴소리단소리
 초대석/이사람더보기
기계설비건설공제조합
많이 본 뉴스더보기
  1. <국토교통인의 향기>수도권 젖줄 한강…환경 생각한 개발 필요 도시경관 제고를 위한 한강 개발 제언프랑스 파리에 관광객이 몰리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겠으나 시가지 중심을 동남에서 서북쪽으로 흐르는 센강과 그 주변의 볼거리가 많은 것도 이유가 될 것이다.▶환경 보호를 고려하는 개발=조선시대의 서울 인구는 20만 명 정도, 그 시대의 생활용수는 주로 지하수였다. 지금의 수도권 인구는 그때..
  2. ‘만능 면허’ 시설물유지관리업, 내년 1월 1일 폐지 '역사속으로' ‘만능 면허’ 시설물유지관리업이 내년 1월 1일부로 폐지, 역사 속으로 사라진다. 건설업을 계속 수행하고자 하는 업체는 연말까지 건설업 등록관청에 종합건설업이나 전문건설업으로 업종을 전환해야 한다. 국토교통부(장관 원희룡)는 2020년 개정된 ‘건설산업기본법 시행령’에 따라 2024년 1월 ...
  3. 8회째 맞은 ‘기계설비의 날’ 기념식…탄소중립 실천 다짐 2016년 기계설비산업의 위상을 제고하고 산업 발전에 기여한 공로자를 격려하기 위해 ‘기계설비의 날’을 제정, 올해로 8회째를 맞은 기념식에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이 참석해 '탄소중립 선포식'을 갖는 등 퍼팩트한 기념행사를 치렀다. 기계설비의 날 기념식 조직위원회(위원장 조인호)는 8일 ...
  4. 이사람 / 손병회 영동건설(주) 회장의 ‘건설 세상’ 사업은 사업대로 열정을 다하면서 이런 일 저런 일로 열심히 발품을 팔고 다니는 중견 건설인이 있다. 영동건설(주) 손병회 회장이다. 손 회장은 “요즈음은 자식들이 사업을 물려받으려고 하지를 않는다. 그 이유는 앞으로 건설산업은 비전과 희망은 물론 쇠퇴해가는 사양산업이라 인기가 없다는 거다. 40...
  5. 기고/이학주 건축분쟁전문위원회 사무국장 건축공사로 인한 인근 주민과의 분쟁조정 신청은 해마다 증가하고 있다. 조정신청된 분쟁의 유형을 분석해보면 건축물 피해분쟁이 전체의 57%로 가장 많다. 건축물 피해는 인근 건축공사 현장의 해체, 발파, 파일 항타, 구조체 공사시 발생하는 진동·충격, 흙막이 변위, 지하수위 저하로 의한 지반침하 등 착공 초기의 다양한 원인으로 ..
한국도로공사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